![부산시는 부산기술지주연합의 1단계 지원사업이 마무리 되고, 2단계를 준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2단계 사업 1년 차인 내년도 예산이 50억원에서 35억원으로 삭감되는 등 기술창업 사업이 퇴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사진=이범준 기자]](http://www.newkoreatimes.co.kr/data/photos/20191250/art_15759654085021_6b132e.jpg)
부산시가 추진하고 있는 '지역 기술창업산업의 성장' 지원에 제동이 걸리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부산시의회가 예산심의 과정에서 부산연합기술지주의 차기 사업인 지방대학 지원과 성장을 위한 예산 배정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며, 예산을 삼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일부 지역 대학에서는 "지방 대학과의 상생 성장 협력을 꺽는 처사"라며 비난했다.
부산연합기술지주는 지난 2015년 9월 설립된 이래 4년간 부산을 중심으로 소위 동남권의 기술사업화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시도를 통해 400명이 넘는 일자리 창출과 60개 가까이 창업기업을 설립, 120여 억 원의 투자펀드 결성 등으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뒀다.
현재 부산시와 대학의 지원을 1단계로 마무리하고, 내년도부터 2023년까지 추진되는 차기 2단계 예산확보와 사업계획 수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부산연합기술지주 1단계 사업이 마무리 되면서, 2단계를 준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열린 부산시 행정감사에서 일부 의원들이 이 사업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와 더불어 차기 단계 사업 예산 삭감을 요구하면서 해당 대학들이 창업생태계 조성에 배치된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사진=이채열 기자]
부산연합기술지주가 추진하고 기획 중인 2단계 사업은 1단계에서 미추진 또는 도출된 보완돼야할 문제점 등을 보충하고 지역의 기술 사업화 산업의 균형적 발전과 기술지주회사의 기반확립을 위한 계획 등이 포함돼 있다.
특히 2단계 사업 계획에는 기술지주회사의 핵심적 미션이라 할 수 있는 '대학 및 공공기술의 사업화를 고도화'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전국 기술지주회사 최초로 학생수 감소와 지원사업감소 등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대학의 신사업확보와 역량성장을 지원하는 사업 내용이 들어 있다.
그러나 2단계 예산확보 과정에서 오거돈 부산시장의 정책적 공약인 '지역 기술창업산업의 성장'지원에 제동이 걸리는 모양세다.
부산연합기술지주가 1단계 사업추진시 대학과의 협력이 다소 미진했던 상황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부산시의회는 부족했던 부분을 강조면서 대학과의 동반성장을 차기 사업 안에 포함시키려는 것에 대한 부정적 견해을 보이고 있다.
최근 생중계로 진행된 부산시 행정감사에서 부산시의회 경제문화위원회의 일부 의원이 부산연합기술지주의 2단계 사업 계획수립과 예산 배정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지난 12월 4일 내년도 예산이 50억 원에서 35억 원으로 삭감됐다.
부산지역의 한 대학 산학협력단 관계자는 "부산지역 창업생태계 육성 및 플랫폼 조성에 다양한 허브역할을 추진 중인 부산연합기술지주에게 예산지원과 사업을 전개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지를 할 필요가 있다"며, "2단계 대학의 출자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어려운 재정 속에 출자를 결심하려는 대학의 의지를 꺾는 처사"라고 말했다.
또 "부산연합기술지주의 운영 예산삭감 등은 지방대학과의 상생 성장 협력 모델을 파괴하는 것이며, 대학의 특허를 가지고 기술기반 창업을 한다는 것과 배치된다.아울러 정부의 정책 방향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 기여라는 부분에서도 반대되는 선택으로 보여 진다"고 주장했다.